티스토리 뷰
0. 들어가며
얼마 전 울릉도에 공습경보가 울렸다.
공습경보가 울리면 어디로 대피해야 하는지 한 눈에 알아보기 위하여
민방위 대피시설을 태블로로 시각화 해보았다.
1. 데이터준비
공공데이터포털 > 전국민방위대피시설표준데이터
https://www.data.go.kr/data/15021098/standard.do
전국민방위대피시설표준데이터
국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『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(제11956호)』에 따라 개방하여 국민들이 보다 쉽고 용이하게 공유•활용할 수 있도록 공공데이터(Datase
www.data.go.kr
좌표계는 중부원점TM(EPSG:2097)로 되어있다.
데이터 컬럼은
['소재지면적', '소재지전체주소', '도로명전체주소', '사업장명', '좌표정보(x)', '좌표정보(y)', '비상시설위치', '시설구분명', '시설명건물명']
전체 컬럼에서
['소재지면적','도로명전체주소','좌표정보(x)','좌표정보(y)'] 만 사용한다.
'도로명전체주소'에서시도/시군구 정보를 빼와 '시도', '시군구' 칼럼을 추가한다. 해당 작업은 Python 을 이용하면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.
2. 시각화
Tableau 에 전국민방위대피시설표준데이터 를 연결한다.
새 시트에 민방위대피시설 위치를 표시한다.
- 좌표정보(x), 좌표정보(y)를 이용하여 맵에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.

MAKEPOINT 함수를 이용한다. 2097은 본 데이터가 사용한 좌표계의 코드이다.
왼쪽 패널의 '위치' 를 더블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.

민방위 대피소에 마우스 오버하면 도로명주소가 나오게 하고싶다.
왼쪽 패널의 도로명전체주소를 더블클릭하면 자동으로 세부정보에 표시된다.

이번엔 최대수용가능인원도 표시하고 싶다.
공공데이터엔 면적만 제공해주고 있다.
1m^2 당 몇 명 수용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국민재난안전포털에 들어간다.
민방위대피소를 클릭하면 민방위대피소 상세정보가 나온다.

최대수용인원/규모 = 1.212027859630324
계산된 필드를 하나 만든다.

최대수용가능인원을 레이블에 끌어다 놓는다.

강에 표시되어있는걸 보니 좌표정보가 썩 정확하지 않은 것 같다.
최대수용가능인원 별로 크기가 다르게 표시되게 해보자.

마크가 자동으로 되어있는 걸 원으로 바꾼다.
최대수용가능인원을 끌어다 크기에 놓는다.
크기를 클릭하고 슬라이드를 조정하여 원하는만큼 크기를 키운다.

잘 표시되고 있다.
송파구 헬리오시티 지하주차장이 우리나라에서 수용가능인원이 제일 많다.
시도/시군구 별로 표시되게 해보자.
왼쪽 패널에서 '시도'와 '시군구' 오른쪽 클릭 > 필터 표시 클릭한다.

['시도'] 에 마우스를 갖다대면 오른쪽에 아래 삼각형 표시가 나타난다.
아래 삼각형 표시를 클릭하고 단일 값(드롭다운) 을 클릭한다.

훨씬 간결해졌다.

내가 보고싶은 곳만 잘 표시된다.
3. 마치며
TO_DO:
내가 위치한 곳에서 최대수용인원을 고려한 민방위대피소 최적 동선 등을 구현해보면 재밌을 것 같다.
'etc. > 데이터시각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Seaborn] histplot/displot 크기 조절 (0) | 2022.11.13 |
|---|
- Total
- Today
- Yesterday